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-1. 정치부 김유빈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몸푸는 3김. 제가 생각하는 3김이 맞습니까? <br><br>한 시대를 풍미한 정치인들, 김영삼, 김대중, 김종필의 '3김'을 떠올리셨다면, 아닙니다. <br> <br>최근 민주당 내 '3김'은 바로 김경수, 김동연, 김부겸입니다. <br><br>Q1-2. 모두 비명계네요? <br><br>네, 셋의 공통점은 민주당의 대권 잠룡들이고, 비명계란 점이죠. <br> <br>공통점이 하나 더있다면 최근 행보가 심상치 않다는 겁니다. <br><br>복권된 김경수 전 지사, 연말 귀국을 앞두고 있죠. <br> <br>김동연 경기지사는 친문계 인사들을 경기도로 열심히 영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잠행하던 김부겸 전 총리는 9월부터 공개행보를 예고했고요. <br><br>여기에, 비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도 하나 결성됐는데요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2월)]<br>"환골탈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진통이라고 생각해 주시고…."<br><br>Q1-3. '3김'을 구심점으로 비명계가 뭉치는 건가요? <br><br>비명계 내에선 당장 눈에 보이는 행보는 없을거라고 얘기합니다. <br> <br>다만 '이재명 일극체제'에 대한 견제가 시작됐다, 이렇게 보는데요. <br> <br>비명계에선 이재명 대표의 1심 선고가 있는 10월이나, 대선 후보 경선, 두 시점을 분수령으로 꼽습니다. <br> <br>다만 비명계 내에서도, 1심 선고 뒤엔 오히려 친명계가 결집할 수 있으니 올해 당장 활동하긴 쉽지 않을거란 목소리도 있고요.<br> <br>Q1-4. 이재명 대표 측 반응은 어때요? <br><br>이 대표, 김경수 전 지사 복권을 환영하며 당에서 역할을 해달라고 했죠. <br> <br>곧 김동연 경기지사도 만날거라고 하는데요. <br> <br>은근한 견제가 아닌가 싶어 제가 친명계에 물어보니, "이재명 체제가 워낙 견고해서 견제대상은 아니"라고 했습니다.<br> <br>Q2-1. 좀 지켜봐야 겠군요. [두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국회가 보이네요. 석달 만에, 무슨 일이 있나요? <br><br>네. 22대 국회가 문을 연지 석 달이 돼가는데요,<br> <br>처음으로 민생 법안들이 처리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여야가 28일 본회의에서 10여 개의 민생법안을 처리하자, 합의했다고 합니다.<br> <br>Q2-2. 왜 아직까지 민생법안 하나 처리를 못한거죠? <br><br>22대 국회 개원식도 열리지 못했을 정도로, 여야 대치 극심했기 때문이죠. <br> <br>[우원식 / 국회의장 (지난달 2일)] <br>"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." <br><br>[전현희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입 다물고 가만히 계세요!" <br> <br>[송석준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본인부터 반성하세요." <br> <br>Q2-3. 그래도 이번엔 여야가 국민들 눈치를 좀 본 모양이죠? <br><br>네 여야 첫 합의 법안이 전세사기특별법인데요. <br> <br>지난 국회에서 대통령이 거부권을 쓰고 폐기됐는데, 여야, 정부가 절충안을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, '양육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부모의 상속권을 제한'하는, 일명 '구하라법' 같은 대부분의 민생 법안들은 여야가 이견이 있다기보단 정쟁에 밀린 것들이 많습니다. <br> <br>Q2-4. 이제 협치, 시작되는 겁니까? <br><br>최근 여당은 한동훈 대표 체제가,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체제가 본격화됐죠. <br> <br>당 대표들 새로 왔는데 '정쟁만 한다, 민생 내팽개쳤다'는 목소리가 많으니, 여론을 의식한 협치 무드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<br> <br>채상병 특검법,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아직 갈등 뇌관이 많지만, 모처럼 민생법 처리에 물꼬가 트인 만큼 이 분위기, 꾸준하면 좋겠습니다. (꾸준하자)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